정보처리기사 필기(2)

  • 가로 행 카디널리티 Cardinality
  • 세로 열 차수 Degree
  • 튜플의 최대 수
    • 각 도메인의 값을 곱한 값
  • First Fit(최초 적합)
    • 15K, 23K, 22K, 22K, 21K 빈공간 순서, 17K 프로그램 적재할 경우 내부 단편화의 크기 추출
    •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빈 영역 중에서 첫 번째 분할 영역에 배치하는 방법
    • 17K보다 큰 영역 중 첫 번째 영역인 23K에 배치
    • 내부 단편화는 분할된 영역이 할당될 프로그램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할당된 후 사용되지 않고 남아 있는 빈 공간을 의미하므로, 23K – 17K = 6K
  • 버블 정렬 / 오름차순 / PASS 1 결과 도출
    • 9, 6, 7, 3, 5
    •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개의 레코드 키 값을 비교하여 그 크기에 따라 레코드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정렬
    • 6 > 9 > 7 > 3 > 5
    • 6 > 7 > 9 > 3 > 5
    • 6 > 7 > 3 > 9 > 5
    • 6 > 7 > 3 > 5 > 9
  • 선택 정렬 / 오름차순 / 1 회전 결과 도출
    • 8, 3, 4, 9, 7
    • 선택 정렬은 n개의 레코드 중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고, 나머지 n-1개 중에서 다시 최소값을 찾아 두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는 방식을 반복하는 정렬
    • 3, 8, 4, 9, 7
  • 삽입 정렬 / 오름차순 / 1회전 결과 도출
    • 8, 3, 4, 9, 7
    • 삽입 정렬은 두 번째 자료부터 시작하여 그 앞(왼쪽)의 자료들과 비교하여 삽입할 위치를 지정한 후 자료를 뒤로 옮기고 지정한 자리에 자료를 삽입하여 정렬
    • 즉 두 번째 자료는 첫 번째 자료, 세 번째 자료는 두 번째와 첫 번째 자료, 네 번째 자료는 세 번째, 두 번째, 첫 번째 자료와 비교한 후 자료가 삽입될 위치를 찾는다.
    • 3, 8, 4, 9, 7
  • 임계경로 > 최장 경로
  • 실기억주소 > 세그먼트의 기준번지 + 변위 값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