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처리 Keyword (3)

UML . 객체지향 시스템을 개발할 때 산출물을 명세화, 시각화, 문서화하는데 사용된다. 즉, 개발하는 시스템을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표현하여 분석가, 의뢰인, 설계자가 효율적인 의소소통을 할 수 있게 해 준다. 따라서, 개발 방법론이나 개발 프로세스가 아니라 표준화된 모델링 언어 TP monitor . 트랜잭션이 올바르게 처리되고 있는지 데이터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미들웨어 송신 시스템 .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시스템으로,

정보처리 Keyword (2)

  LSP(Liskov Substitution Principle) – 객체지향 설계 원칙 중 서브타입(상속받은 하위 클래스)은 어디에서나 자신의 기반타입(상위 클래스)으 로 교체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원칙 객체지향 분석 –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비즈니스(업무)를 객체와 속성, 클래스와 멤버, 전체와 부분 등으로 나누어 서 분석해 내는 기법 Instance – 객체지향 기법에서 같은 클래스에 속한 각각의 객체를 의미하는 것 FEP –

3. 비선형 구조

1)트리(Tree) 1. 트리의 구조 – 데이터를 1:N의 계층 구조로 표현하는 자료구조 – 각 노드는 하나의 간선(Edge, Branch)으로 연결 – N개의 노드를 가진 트리의 간선 개수: N-1 – 방향성이 있는 비순환 그래프의 한 종류 – 트리의 구조에 따라 이진 트리, 포화 이진 트리, 완전 이진 트리 등으로 나뉜다. 2. 트리의 용어 – 노드는 위치와 서로의 관계에

정보처리 Keyword (1)

Hub –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로 보내거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수신된 정보를 여러 대의 컴퓨터로 송신하기 위한 장비 블록 암호(Block Cipher) – 블록의 길이가 정해져 있으므로 기호의 삽입, 삭제가 불가능 – 구현이 용이하며 혼돈과 확산 이론을 기반으로 설계 – 암호화 과정에서 오류는 여러 변환 과정의 영향을 미치므로 파급력이 크다 Companion(Second) Screen (Hardware) – TV 방송

2. 선형 구조

1)스택(Stack) 1. 스택의 구조 – 데이터 입출력이 한쪽에서만 일어아는 구조 – 스택 포인터(TOP)가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정보(값)를 저장한다. – 데이터가 삽입(PUSH)될 때마다 1씩 증가하며, 스택의 크기를 넘어서게 되면 Overflow를 발생 – 스택 포인터는 데이터를 추출(POP)할 때마다 1씩 감소하며, 0보다 작아지게 되면 UnderFlow를 발생 2. 스택의 특징 – 가장 나중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

2. 암호 알고리즘

1)대칭키 암호화 . DES(Data Encryption Standard) . AES(Advanced Encryption Standard) . IDEA(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) . SEED . ARIA(Academy, Research Institute, Agency) . RC5   2)공개키 암호화 . RSA(Rivest Shamir Adleman) . ECC(Elliptic Curve Crypto) . DSA(Digital Signature Algorithm)   3)해시암호 . MD(Message Digest) . SHA(Secure Hash Algorithm)

1.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

  1)자료 구조의 개념 1.자료 구조 정의 – 프로그램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놀리적으로 설계된 데이터 구조 및 관계 2.자료 구조 특징 – 같은 데이터라도 데이터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.   2) 자료 구조의 유형 1. 단순 구조 –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기본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는 구조 2. 선형 구조 –